사회문제 해결방안 빅데이터 보고서, 흥진고
- Pinkowl
- 2022년 8월 28일
- 1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3년 10월 8일
안녕하세요. 이티랩 주혜정입니다. 최근 군포의 흥진고등학교에서 <빅데이터로 분석하는 사회문제 해결방안> 주제로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이티랩은 지난 수년간 학교, 기관, 기업을 대상으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을 융합한 주제로 디지털 역량을 키우는 수업을 연구중인데요. 그 중 데이터 리터러시는데이터 리터러시는 ‘데이터를 읽고, 이해하고, 생성하고,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합니다. 여기서 ‘리터러시(Literacy)’는 글을 보고 이해하는 ‘문해력’을 말하는데요. 따라서 데이터 리터러시는 ‘데이터를 이해하고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합니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역량, 가공 및 분석하는 역량, 시각화하거나 기획하는 역량까지 모두 데이터 리터러시에 포함됩니다.

군포 흥진고등학교는 기업가 정신에 기반한 수업으로 진행했어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알아보고 빅데이터도구를 분석하여 사회문제 해결방안을 찾아보는 과정입니다.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내가 생각하는 진로 등을 표현하는 '나 데이터'를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하여 자기 소개를 하는 과정을 통해 데이터와 시각화에 대한 흥미를 갖습니다.
![]() | ![]() |
![]() | ![]() |
'빅데이터가 항상 옳을까요?' 빅데이터라는 용어는 익숙하지만 정보로서만 알고 있을 뿐 빅데이터의 오류가 미치는 사회 현상을 빅데이터 도구를 활용하여 비판적인 사고로 검증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모둠활동으로 빅데이터 보고서의 주제를 서로 질문하고 토의한 후 빅데이터 보고서를 완성한 후 발표하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협업과정에서 반짝이는 호기심과 진지함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마치 모두 빅데이터 분석가가 된 듯합니다.
![]() | ![]() |
성평등 보장, 기후변화 대응, 멸종위기 야생동물 등 지식기반발전목표에 기반한 문제들에 대한 주제를 모둠토의로 선정하고 데이터분석, 시각화, 해결방안까지 빅데이터 보고서에 담습니다.
![]() | ![]() |
![]() | ![]() |
디지털 네티이브인 학생들은 디지털과 미디어를 활용하는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그 두각을 나타납니다.
공동체 속의 주인공으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뜨거운 열의를 볼 수 있었어요.
아이들이 평소보다 너무 진지하게 열심히 해서 놀랐다는 담당 선생님의 말씀에 흐뭇한 마음으로 돌아갔습니다.
댓글